“홀트아동복지회” 아동학대 피해로 숨진 정인양의 입양을 맡았던 기관이 학대 사실을 알고도 별다른 조치를 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5일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입양 사후관리 경과’ 자료가 화제다.
입양기관인 홀트아동복지회는 지난해 2월3일 피해아동이 입양된 뒤부터 지난해 10월까지 3차례 가정방문을 하고 입양가족 측과 3차례 통화를 했다.
자료에 따르면 홀트아동복지회는 5월26일 2차 가정방문에서 피해아동의 몸에서 상흔을 발견하는 등 학대 정황을 처음 발견했다.
입양기관은 사후보고서에 “아동의 배, 허벅지 안쪽 등에 생긴 멍 자국에 대해 (양부모가)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고, 아동양육에 보다 민감하게 대처하고 반응할 수 있도록 안내했다”고 적었다.
이후 아동보호전문기관을 통해 피해아동이 2주간 깁스를 하고 있던 사실과 양모가 자동차에 30분가량 방치한 사실 등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았고, 학대가 의심된다는 신고가 있던 9월 23일에는 양모가 방문을 거부한다는 이유로 가정방문을 늦춰 결국 피해아동은 10월 13일 사망했다.
누리꾼들은 “예전에 알던 홀트아동복지회가 아니다”, “홀트아동복지회, 양천경찰서, 탈탈 털어서 조사하고 방임한죄에대해서 꼭 죄를 물어야한다”, “다 자격없다 경찰도 홀트도 양부모도”, “제도 운운하고 메뉴얼 운운하면서 다들 결국 지네 탓 아니라는 거잖아”, “홀트는 아동을 위한 단체냐 아니면 무슨 단체냐”, “세금만 낭비하는 저런단체들 싹 깔아업어 버려야한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VONVON/ 무단복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반 시 법적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