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위기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하여 대학 입학 추가모집 인원이 급증하면서 현실로 드러났다.
대학은 이에 대응해 대대적인 대입 전형 개편도 고려하고 있다.
23일 입시기관 등에 의하면, 서울에서 먼 대학 순으로 올해 대입 추가모집은 ‘선착순’과 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즉, 서울과 수도권 일부 학교를 제외하고 먼저 지원하는 순으로 합격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지난 21일 기준으로 올해 추가모집에서 4년제 대학 162개교가 총 2만 6,129명을 뽑는다.
이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영향이 크다.
지난해 12월에 열린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제 인원은 42만 1,034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일부 지방대는 신입생 미달을 막기 위해 수능 미응시자에게도 수능 위주 일반전형 지원을 허용했다.
수능 성적이 있는 자를 우선 선발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사실상 ‘지원자 전원 합격’을 시키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에서는 추가 모집 증가 여파가 대입 일정이 모두 끝나더라도 이어질 것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신입생 미달 학교 중심으로 자퇴 등으로 중도탈락하는 학생이 늘어날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여 수능최저학력기준 완화 등 전형 개편을 검토하고 있는 지방 국립대도 있다.
지방 소재 한 국립대 관계자는 “학령 인구 감소를 고려해 2023학년도 대입전형을 설계 중이다”라고 밝혔다.
신입생 미달 사태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면서 지방대들이 신입생 모집에 사활을 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졸업생 취업률 증진보다 신입생 모집 미달을 막는 것이 시급해졌다는 의미다.
이에 영남권에 위치한 한 사립대 교수는 “그동안 대학에서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치고 취직시킬 것인가에 대학 경영의 목표가 집중되었다면 이제는 신입생 모집으로 옮겨갈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VONVON/ 무단복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반 시 법적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