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 공유 할까??.
문재인 대통령이 총 5000만원을 5개의 ‘한국판 뉴딜 펀드’에 1000만원씩 투자한다고 13일 청와대가 밝혔다.
문 대통령은 2019년 8월 일본 수출 규제에 맞서 국내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 기업 등에 투자하는 ‘필승코리아 펀드’에 5000만원을 투자했고 펀드 가입 이후 90%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한다.
해당 펀드는 ‘문재인 펀드’로 불리며 출시 1년만에 50%이상의 수익률을 보였다.
이어 문 대통령은 ‘소부장 펀드’에서 5000만원 원금은 그대로 두고 수익금만 환매할 예정이라 밝혔다.
대략 4500만원 이상의 수익률을 봤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투자 원금은 그대로 두고 수익금에 신규 투자금을 보태 한국판뉴딜 펀드 5개에 각각 1000만원씩 투자한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2일 은행에 소부장 펀드 환매 요청을 했고 그로부터 사흘 뒤인 15일 수익금이 계좌에 들어오면 민간 뉴딜펀드에 가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11일 “코로나로 많은 이익을 얻는 계층이나 업종이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기여해 피해가 큰 쪽을 돕는 다양한 방식을 논의하자”고 밝혔다.
그는 “고소득층 소득은 더 늘고 저소득층 소득은 오히려 줄어드는 이른바 ‘K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 양극화 대응은 주로 재정(당국)이 맡는 게 당연하지만, 민간의 연대와 협력으로 고통을 분담하며 공동체의 회복을 돕는 방법도 찾을 수 있을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해당 이익공유제는 엄청난 비난을 받고 있다.
한 누리꾼은 해당 발언에 “우리나라가 민주주의 국가에 자본주의 사회인데 공산화 시키려고 작정을 한거 같은데 국회의원이랑 이번 년도부터 오르는 대통령 연봉이나 자진삭감하고 말해라” 라며 지적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의 2021년도 연봉이 확정됐다.
2021년도 대통령 연봉은 2억3822만7000원으로 확정됐다.
인사혁신처는 내년도 공무원 보수인상률 등을 정한 ‘공무원 보수규정‘과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이 2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 됐다고 밝혔다.
내년도 정무직 연봉 표에 따르면 대통령은 2억3822만7000원, 국무총리는 1억8468만5000원, 부총리·감사원장은 1억3972만5000원, 장관(장관급)은 1억3580만9000원, 인사혁신처장·법제처장·식품의약품안전처장 1억3384만9000원, 차관(차관급)은 1억3189만4000원이다.
내년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0.9%지만, 어려운 경제여건을 고려해 대통령 등 정무직과 고위공무원단, 2급 상당 이상 공무원은 전원 인상분을 반납하게 된다.
대통령을 포함한 정무직 연봉은 지난해 인상분 반납으로 반영하지 않았던 인상률인 2.8%를 반영해 받게 되는 연봉이다.
[저작권자 VONVON/ 무단복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반 시 법적조치)].